국제유가란, 국제 석유시장에서 거래되는 지표, 즉 거래가격으로, 3가지가 있다.❶저유황 경질유인 ‘브렌트유’(북해산 원유)는 영국 북해지역에서 생산되며, 런던 국제석유거래소(IPE)에서 거래되는데, 가장 비싸다. 유럽과 아프리카에서 주로 사용한다. ❷저유황 중질유인 ‘서부텍사스산’(WTI)은 뉴욕상품거래소(NYMEX)...
유류세가 15%나 인하됐는데, 소비자들이 느끼는 기분은 시원치가 않다. 한시적(2018년 11월6일~2019년 5월6일)이어서일까? 휘발유/경유에 붙는 유류세는 교통세, 주행세, 교육세 등으로, 가격대비 유류세 비율을 살펴보면, 휘발유 54.6%, 경유 45.9%, LPG/부탄 29.7%다. 유류세 15% 인하로 리터당 휘발유 123...
[이희정의 사람, 이야기] 국민석유회사 설립준비위 이태복 상임대표 국민 1%도 모르지만 폭발적 호응한달 만에 약정액 350억 육박… 자본금 3000억으로 상향 검토 중정유사 독과점 구조론 해결 못해… 소비자가 직접 거품빼기 나설 때 20%, 주먹구구 아니다질 좋고 값싼 加·시베리아산 쓰면… 중동산보다 운송·정...
2008년 9월 언론에 이태복 이사장님이 기고했던 글입니다. 이라크전이 석유 때문이었다는 것은 이제 비밀도 아니다.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다보면 석유가 근현대사에 얼마나 큰 영향을 끼쳤는지 알게 되고, 새삼 놀랄 때가 많다. 우리나라에서 이 석유문제는 한...
국내 휘발유와 경유값이 2천원선을 넘어서서 국내 기름값이 2천원 시대가 시작됐다.우리는 60〜70달러 하던 때에 고유가행진이 계속되는 상황에서 기존의 정유4사의 폭리를 보장해주는 기름값제도를 근본적으로 수술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난 1년동안 줄기차게 제기해왔다. 하지만 정부당국은 유통과정의 단속에 치중하거나 유...